안녕하세요? 오 팀장입니다.
물품대금을 결제하는 데 있어 개인사업자들의 경우 간혹 사업용 계좌가 아닌 사장의 자녀나 배우자 명의의 통장으로 대금을 송금해달라는 요청을 받게 됩니다. 물론 물품대금에 대해서는 정규증빙인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 부가가치세 신고를 했으나, 물품대금의 송금만 거래처 사장의 배우자 등 가족 명의의 통장으로 송금하는데, 이처럼 법인의 비용을 거래처 명의가 아닌 타인명의의 계좌로 송금해도 세무적으로 아무런 불이익이 없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세법상 규정
법인의 비용을 반드시 소득자 본인 명의 통장으로 송금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세법에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동 비용에 대해 법인이 정상적으로 회계 처리하고 실질과세에 따라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아무런 불이익이 없습니다. 법인세의 과세소득이 되는 금액의 계산에 관한 규정은 소득·수익 등의 명칭이나 형식에 불구하고 그 실질 내용에 따라 이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즉, 누구에게 지급했는지가 아니라 누구의 비용이었는지, 경제적 효익을 누가 보았는지가 중요합니다. 이는 우리나라 세법이 실질과세의 원칙에 입각하기 때문입니다.
[ 관련 법률 ]
법인세법 제4조(실질과세)
①자산 또는 사업에서 생기는 수입의 전부 또는 일부가 법률상 귀속되는 법인과 실질상 귀속되는 법인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그 수입이 실질상 귀속되는 법인에 대하여 이 법을 적용한다.
②법인세의 과세소득이 되는 금액의 계산에 관한 규정은 소득·수익 등의 명칭이나 형식에 불구하고 그 실질 내용에 따라 이를 적용한다.
사례처럼 타인명의 통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법인의 입증책임에 따라 모든 거래체 대해 거래증빙과 지급규정·사규 등의 객관적인 자료에 의해 이를 해당 법인에게 귀속시키는 것이 정당함을 입증해야 합니다.
따라서 물품대금을 손금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거래처의 가족 명의 통장으로 입금된 것이 해당 거래처의 사업소득의 대가에 해당되는 것인지에 대해 법인이 입증할 필요가 있으므로 '타인명의 계좌 송금 요청 의뢰서'라는 별도의 객관적인 보완서류를 갖추고 물품대금이 정상적으로 지급되었음이 확인된다면 세무적으로 아무런 불이익이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타인명의로 계좌를 송금하는 경우 세무서로부터 가공경비 계상 등의 조세회피 행위로 오인받을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사업자 명의 계좌에 송금하는 것이 확실한 입증방법이 될 것입니다. 이는 사업자 명의 통장으로 계좌 이체한 금융자료 등은 납세자의 과세관청 사이의 분쟁 시 실질과세의 원칙에 의해 납세자 입장에서는 안정장치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 관련 법률 ]
법인세법 기본통칙 4-0···2(법인의 입증책임)
법인세의 납세의무가 있는 법인은 모든 거래에 대하여 거래증빙과 지급규정, 사규 등의 객관적인 자료에 의하여 이를 당해 법인에게 귀속시키는 것이 정당함을 입증하여야 한다. 다만, 사회통념상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내의 비용과 당해 법인의 내부통제기능을 감안하여 인정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지출은 그러하지 아니한다.
▣타인명의 계좌 송금 요청 의뢰서
의뢰인으로 부터 꼭 받아두어야 할 '타인명의 계좌 송금 요청 의뢰서'입니다.

'법인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고보조금 등의 회계 처리 2탄 (0) | 2021.12.14 |
---|---|
국고보조금 등의 회계 처리 1탄 (0) | 2021.12.10 |
임원 건강검진비가 손금 인정이 되나요? (0) | 2021.12.03 |
[법인세 세무조정] 대손충당금 및 대손금 조정명세서 (0) | 2021.11.25 |
[법인세 세무조정] 접대비 조정명세서 작성방법 (0) | 2021.11.22 |
댓글